4월27일 ‘2018 남북정상회담’ 개최
실향민 2세인 문 대통령 “잘할 것”
도민사회, 이산가족 고향방문 기대
정세균 국회의장실, 여론조사 실시
<사진설명; 실향민 2세인 문재인 대통령이 4월 27일에 개최되는 ‘2018 남북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들의 오랜 숙원인 고향방문과 상봉정례화가 실현될 수 있도록 좋은 성과를 거두기를 기대하는 가운데 이북5도청에 설치된 태극기와 이북5도위원회 및 각 도민회 깃발들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정부는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회담(3.29)을 갖고 ‘2018 남북정상회담’을 4월 2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갖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만나는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지난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2007년 10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에 이어 세 번째로 10년6개월 만이다.
이북도민사회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들의 아픔이 해소되고 치유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을 전하며 실향민 2세로 이산가족인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잘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안충준 이북5도위원장은 “남북정상회담이 조심스럽고 결과를 낙관할 수 없지만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좋은 기회가 주어진 것은 사실인 만큼,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이산가족들의 숙원인 고향방문과 상봉정례화가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정세균 국회의장실은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성인 남녀 1,000명을 상대로 ‘북핵 및 외교안보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여론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 10명 중 9명은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잘 된 일'이라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반면 69.5%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북한의 비핵화에 거는 기대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시급한 남북 교류협력 과제에 대해서는 '이산가족 상봉'이라고 답한 국민이 43.6%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광 등 자유로운 왕래 허용'(24.6%), '개성공단 재개'(24.1%), '철도 항만 등 물류연결'(20.9%) 등이 뒤를 이었다.
남북 관계를 주도적으로 풀어가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른바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해서는 '실현 가능성이 크다'가 58.8%로, '가능성이 작다' 35.2%보다 높게 나타났다. 석 달 전만 해도 의문시되던 '한반도 운전자론'이 힘을 받는 모습이다.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낮추기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중단'(68.8%, 중복 응답)이 꼽혔다. 이어 '비무장 지대의 평화지대화'(21%), '군사 당국자 간 핫라인 설치'(18.8%), '서해북방한계선 부근 공동어로 혹은 평화수역 설정'(18.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